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게임 수학부분을 작성하다보면 수식을 적어야할 상황이 많은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적으니 가독성도 떨어지고해서 방법을 찾아보았다. 그결과 위와 같은 HTML코드를 [블로그관리] -> [스킨편짐] -> [HTML편집]에 삽입하라는 다른블로그글을 발견했다. http://www.statpower.net/Content/310/R%20Stuff/SampleMarkdown.html An Example R Markdown Introduction This is an R Markdown document. By studying the document source code file, compiling it, and observing the result, side-by-side with the source, you’l..

버튼 만들기 오늘은 글을 작성해보며 이미지 링크버튼을 생성하려 했다. HTML을 오랫만에 접한터라 어렴풋이 기억난 태그를 검색하여 해당 부분을 사용하려했다. 태그 다른 정보를 불러 올 수 있는 엘리먼트 링크를 연결하여 해당 경로로 이동이 가능하다. 버튼이름 혹은 이를 대체할 이미지a> * 예제에서 href(hypertext reference)는 연결할 주소를 지정하는 속성이다. * "data-*"속성은 자바스크립트의 부분이며 엘리먼트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외해도 된다) 태그 이미지를 띄우는 태그이다 여기서 좀 새롭게 알게된 사실이 태그로 링크를 만들고 해당 링크를 글작성 중 엔터를 누르면 웹에서 알아서 해당링크의 를 만들어준다. 태그 figure는 사진, 이미지, 다이어그램 등을 감싸는..
글을 작성하기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았지만 작성하며 HTML과 마크다운 모드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 카테고리는 블로그 글을 작성하며 발견하거나 학습하게된 도움되는 정보들을 모아 놓으려한다. HTML HTML5 + CSS3는 시간이 좀 지났지만 교육을 받은적 있어서 생각보다 기억을 더듬으며 글쓰는데 도움이 되도록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글로 적어 남겨서 나중에도 사용 가능하도록 하려한다. 마크다운 마크다운에 대해서는 들어본적이 있다. GitHub를 사용할때 직접 README를 작성할때 사용하기도 하였는데, HTML을 간단하게 작성하게 해주는 편리한 문법이다. 물론 HTML의 모든 기능을 따라할 수는 없는 걸로 안다. 하지만 충분히 기본적 틀을 잡기 편하도록 만들어주기에 마크다운을 사용하는 법도 연습해야겠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메모리
- 포인터
- 함수
- const
- 클래스
- 상속
- 레지스터
- 스레드
- 크기
- 알고리즘
- 백준
- 할당
- 인터럽트
- 컴파일
- static_cast
- 운영체제
- 수학
- 입출력
- thread
- malloc
- 초기화
- CPU
- 명령어
- 멀티스레드
- 프로세스
- 구조
- c++
- New
- 게임수학
- dynamic_cas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