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메모리 구조
프로그램 실행시 운영체제는 해당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공간(지역, 전역 변수 선언 등)을 할당
코드(Code)
- 코드 영역은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소스코드가 들어 가는 부분이다.
- 실행할 프로그램의 코드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텍스트 영역으로도 불린다.
- 실행 파일은 코드 영역에 구성된 명령어들로 메모리 영역에 함수, 제어문, 상수 등을 지정시킨다.
데이터(Data)
- 전역 변수 및 static변수 할당 영역
- 프로그램 시작시 할당, 종료 후 메모리에서 소멸
#include <stdio.h>
int a = 10; // 데이터 영역에 할당
int b = 20; // 데이터 영역에 할당
int main() {
static int c = 30; // 데이터 영역에 할당
return 0;
}
힙(Heap)
- 프로그래머가 직접 할당하는 영역, 필요에 의해 동적 메모리 할당
- 고수준 언어의 경우 가비지 컬렉터가 자동으로 관리하는 영역
- 할당해야 할 메모리의 크기를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런 타임때) 결정해야 하는 경우 사용되는 공간
- 보통 스택 영역보다 큰 메모리를 할당받아 사용
- 메모리의 낮은 주소부터 높은 주소 방향으로 할당
장점
- 변수는 전역적으로 엑세스 할 수 있다.
- 메모리 크기 제한이 없다.
단점
- 상대적 느린 엑세스 (할당/해제가 느림)
- 메모리 관리가 필요 (변수 할당/해제 책임)
- 운영체제마다 메모리 관리 체계가 다름
int main() {
// 정상적인 배열선언
int arr[10]; // 메모리 40바이트
// 비 정상적인 배열선언
int i = 10; // 4바이트
scanf("%d", &i);
int arr[i]; // 메모리 4바이트
return 0;
}
- 상수를 사용한 정상적 배열 선언은 컴파일때 메모리를 할당 받는다.
- 'i = 10'이라 선언되어도 컴파일러는 초기화를 무시하기 때문에 4바이트로 인식한다.
- 위와 같은 이유로 지역변수는 런타임때 크기가 결정되기에 메모리크기를 알수 없다. 단, 선언된 자료형의 크기만 알 수 있다.
스택(Stack)
- 정적 메모리 할당 영역
- 함수 호출시 생성되는 지역, 매개 변수 할당 영역
- 함수 호출 완료 후 소멸
- 스택 영역에 저장되는 함수의 호출 정보는 스택 프레임(stack frame)에 저장
- 메모리의 높은 주소에서 낮은 주소 방향으로 할당
장점
- 매우 빠른 액세스 (할당/해제 빠름)
- 변수를 명시적으로 할당/해제 할 필요가 없음
단점
- 메모리 크기 제한
- 지역 변수에만 적용
#include <stdio.h>
void fct1(int);
void fct2(int);
int a = 10; // 데이터 영역에 할당
int b = 20; // 데이터 영역에 할당
int main() {
int i = 100; // 지역변수 i가 스택 영역에 할당
fct1(i);
fct2(i);
return 0;
}
void fct1(int c) {
int d = 30; // 매개변수 c와 지역변수 d가 스택영역에 할당
}
void fct2(int e) {
int f = 40; // 매개변수 e와 지역변수 f가 스택영역에 할당
}
- main의 지역변수 i가 스택영역에 할당
- fct1함수 호출에 지역변수 d가 스택영역에 할당
- fct2함수 호출에 지역변수 f가 스택영역에 할당
'Computer >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구조론] 메모리 계층구조 시스템 (Hierachy Memory System) (0) | 2023.12.04 |
---|---|
[컴퓨터구조] 시스템의 구성 (CPU와 Memory, System Bus) (0) | 2023.10.01 |
[컴퓨터구조] 정보의 표현과 저장 (0) | 2023.08.26 |
[컴퓨터구조] 컴퓨터시스템 개요 (0) | 2023.08.26 |
[컴퓨터구조] 스택 프레임(stack frame) (0) | 2023.08.16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구조
- 멀티스레드
- 스레드
- thread
- 백준
- 수학
- 명령어
- 메모리
- 클래스
- 함수
- 크기
- const
- 레지스터
- static_cast
- New
- 컴파일
- dynamic_cast
- CPU
- 프로세스
- 인터럽트
- 입출력
- 포인터
- 할당
- 게임수학
- 알고리즘
- malloc
- 상속
- c++
- 초기화
- 운영체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