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Large File Storage
깃을 사용하다보면 용량이 100MB가 넘어가서 Push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럴때는 걱정하지 말고 LFS 처리하여 전송하자.
우선 LFS는 Large File Storage의 준말로, 직영해도 큰 파일을 저장할 수 있게 해준다.
더 정확히는 큰 파일을 분할하여 전송하여 약간 눈속임 같은거라 보면 된다.
그럼 시작해보자.
설치
LFS 설치는 굉장히 간단하다. 깃이 알려준다.
Git 대형 파일 스토리지 설치 - GitHub Docs
Git LFS를 사용하려면 Git과 별개인 새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docs.github.com
위 과정을 따라하고 나면 Git Bash를 켜서 내가 옮기려는 레포지토리로 이동한다.
Git Bash 명령어
git lfs track "*.확장자"
git lfs track "파일 명칭"
그리고 위와 같이 분할할 파일을 추적하도록 명령어를 내린다.
그러면 .gitattributes 파일이 자동으로 생성되는데, 해당 파일에 우리가 추적하기로 선언한 값들이 기록된다.
.gitattributes 내용
*12_2_1.bundle filter=lfs diff=lfs merge=lfs -text
*12_2_1.so filter=lfs diff=lfs merge=lfs -text
이제 다시 해당 레포지토리에 대용량 파일을 업로드하려 하면 추적이 가능한 파일들은 모두 커밋 & Push가 가능해진다.
'Computer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Fork Repo 최신화 업데이터 (0) | 2023.10.19 |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게임수학
- 알고리즘
- 컴파일
- malloc
- thread
- 운영체제
- 크기
- CPU
- 프로세스
- 수학
- 상속
- c++
- 명령어
- 메모리
- 인터럽트
- 구조
- 초기화
- 백준
- static_cast
- 할당
- 레지스터
- 함수
- 멀티스레드
- 입출력
- 포인터
- 스레드
- const
- dynamic_cast
- 클래스
- New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